목록데이터 엔지니어링 정복 (376)
지구정복
사용자가 sudo 없이 docker명령어를 사용하려면 아래처럼 명령어를 입력한다. sudo groupadd docker sudo usermod -aG docker $USER newgrp docker docker run hello-world reboot
https://github.com/JiHooney/_Studying-Docker-Kubernetes/blob/main/Chapter1/0905.md
https://www.acmicpc.net/problem/14889 14889번: 스타트와 링크 예제 2의 경우에 (1, 3, 6), (2, 4, 5)로 팀을 나누면 되고, 예제 3의 경우에는 (1, 2, 4, 5), (3, 6, 7, 8)로 팀을 나누면 된다. www.acmicpc.net -문제해설 1. 먼저 변수는 아래와 같고, 모두 전역변수이다. n: 그래프의 크기 arr[][]: 각 선수들 조합에 따른 팀의 능력치들을 담을 2차원 배열 visit[]: 특정 선수가 팀에 배정됐음을 나타내는 방문배열 1차원배열 ans: 최종 정답값 2. arr에 팀의 능력치값들을 입력받는다. 3. cal( int index, int depth ) 메서드를 호출한다. 매개변수인 index는 팀 번호를 의미하고 dept..
![](http://i1.daumcdn.net/thumb/C150x150/?fname=https://blog.kakaocdn.net/dn/bvfNdN/btrdOv8S9UX/rlLPVQyPKXEuN51hQnxCMK/img.png)
https://www.acmicpc.net/problem/14501 14501번: 퇴사 첫째 줄에 백준이가 얻을 수 있는 최대 이익을 출력한다. www.acmicpc.net -문제해설 이 문제는 dp를 이용해서 풀 수도 있고 dfs를 이용해서 풀 수도 있다. 두 가지 다 한 번 풀어보자! 먼저 dp의 경우 t, p, dp 배열의 크기를 잘 설정해야 한다. 먼저 t, p 배열의 크기는 n+2로 설정해야 한다. 그 이유는 다음과 같다. 문제 예시에서 1일의 상담기간은 3일이니깐 3일째까지는 다른 상담을 못하고 4일째부터 다른 상담을 할 수 있다. 즉 1일째의 p의 값 10은 dp[4]에 저장된다. 만약 7일째의 상담기간이 1일 경우 이 값은 dp[8]에 저장된다. 따라서 배열들의 크기는 n+1을 해줘야하고 .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