일 | 월 | 화 | 수 | 목 | 금 | 토 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
1 | 2 | 3 | 4 | 5 | ||
6 | 7 | 8 | 9 | 10 | 11 | 12 |
13 | 14 | 15 | 16 | 17 | 18 | 19 |
20 | 21 | 22 | 23 | 24 | 25 | 26 |
27 | 28 | 29 | 30 | 31 |
- 코딩
- Trino
- 코테
- 개발
- Spark
- pyspark
- Linux
- 맛집
- java
- 영어
- Data Engineer
- 여행
- Data Engineering
- 용인맛집
- BigData
- 코엑스맛집
- bigdata engineering
- Kafka
- 백준
- HIVE
- apache iceberg
- 삼성역맛집
- hadoop
- 알고리즘
- bigdata engineer
- 프로그래머스
- 코딩테스트
- Apache Kafka
- 자바
- Iceberg
- Today
- Total
목록데이터 엔지니어링 정복/JAVA & JSP (46)
지구정복

배울내용 java -> 데이터를 저장 임시 변수/상수 =>자료구조 영구 로컬 -파일 원격 -데이터베이스 Java Program Client JDBC(Java Database Connectivity) 자바애플리케이션 -> JDBC API -> JDBC드라이버(라이브러리) -> 데이터베이스 JDBC드라이버는 데이터베이스 제작업체에서 제공한다. 아래 링크를 통해서 마리아디비의 jdbc드라이버를 다운로드받는다. downloads.mariadb.com/Connectors/java/connector-java-2.7.1/ Connectors/java/connector-java-2.7.1/ - MariaDB downloads.mariadb.com 다운로드받은 .jar파일을 이클립스 워크스페이션 APIs폴더에 집어넣는다..
앞으로 배울 내용 데이터 저장 임시 변수/ 상수 ->Collection 영구 로컬 원격(네트워크) Java 기본 file 데이터베이스 mariadb Java 나머지 미니프로젝트 web - html/css/js *시험 - 간단한 프로그램 작성후 스크린캡처 12.1 멀티스레드 개념 12.1.1 프로세스와 스레드 576 운영체제에서는 실행 중인 하나의 애플리케이션을 프로세스라고 한다. 멀티태스킹은 두 가지 이상의 작업을 동시에 처리하는 것을 말하고 운영체제는 멀티 태스킹을 할 수 있도록 CPU 및 메모리 자원을 프로세스마다 적절히 할당해주고, 병렬로 실행시킨다. 그럼 어떻게 하나의 프로세스가 두 가지 이상의 작업을 처리할 수 있을까? 그 방법은 멀티 스레드에 있다. 하나의 스레드는 하나의 코드실행 흐름이기 때..

정리 영구저장 로컬(프로그램과 같이 저장되어 있는) - File java.io -> java.nio File 1018p(IO), 1102p(NIO) Stream (읽고싶은 단위를 읽는다.) input - read()를 사용 / output - write()를 사용 InputStream, OutputStream / Reader, Writer 1차 스트림 / 보조 스트림(2차스트립) => 클래스가 존재 996p ㅇ콘솔 입출력 콘솔은 시스템을 사용하기 위해 키보드로 입력을 받고 화면으로 출력하는 소프트웨어를 말한다. 유닉스나 리눅스 운영체제는 터미널에 해당되고 윈도우는 명령프롬프트에 해당한다. 콘솔로 데이터를 입력받을 때 System.in을 사용하고, 출력할때는 System.out을 사용한다. System.i..
이어서 ㅇ보조 스트림 p1028~1032 보조 스트림이란 다른 스트림과 연결되어 여러 가지 편리한 기능을 제공해준다. 즉, 스트림을 여러개 붙일 수 있다. ㅇ성능향상 보조 스트림 프로그램의 실행 성능은 입출력이 가장 늦은 장치를 따라간다. 이 문제에 대한 완전 해결책은 될 수 없지만, 프로그램이 입출력 소스와 직접 작업하지 않고 중간에 메모리 버퍼와 작업함으로써 실행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. 예를들어 프로그램은 직접 하드디스크에 데이터를 보내지 않고 메모리 버퍼에 데이터를 보냄으로써 쓰기 속도가 향상된다. 버퍼는 데이터가 쌓이기를 기다렸다가 꽉 차게 되면 데이터를 한꺼번에 하드 디스크로 보냄으로써 출력 횟수를 줄인다. 메모리버퍼를 제공하는 것은 바이트 기반 스트림에는 BufferedInputStream.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