데이터 엔지니어링 정복/Algorithm
[수학] 백준 - 수 이어쓰기 1
noohhee
2021. 8. 23. 14:29
728x90
반응형
https://www.acmicpc.net/problem/1748
1748번: 수 이어 쓰기 1
첫째 줄에 N(1 ≤ N ≤ 100,000,000)이 주어진다.
www.acmicpc.net
-문제해설
9이하이면 1자리
99이하이면 2자리
999이하이면 3자리
...
이므로 i가 1부터 입력값인 n까지 반복문을 돌면서
i가 10일 때, i가 100일 때, i가 1000일 때....
더해지는 수 tmp를 1씩 증가시킨다.
그리고 ans에 누적해서 더한다.
ans += tmp;
파이썬의 경우 규칙을 이용해서 풀었다.
예를 들어 n이 1002일 경우
1~9까지의 합은 9
10~99까지의 합은 180
100~999까지의 합은 2700
여기서 규칙을 확인해보면
1~9 : 9 * 1 * 10^0
10~99 : 9 * 2 * 10^1
100~999 : 9 * 3 * 10^2
따라서 입력받은 n이 1002이므로 999까지의 합을 구한 뒤 1000, 1001, 1002 의 자리수를 더해주면 된다.
1000, 1001, 1002 의 자리수를 더하는 방법은
4 * ( 1002 - 1000 + 1 ) = 4 * 3 = 12
이를 식으로 나타내면 아래와 같다.
len(n) * ( ( n - 10^(len(n)-1) ) + 1 ) = 4 * ( 1002 - ( 10^3 ) ) + 1 = 4 * ( 2 ) + 1 = 12
-자바
package bruteforce;
import java.io.BufferedReader;
import java.io.IOException;
import java.io.InputStreamReader;
public class BJ1748 {
public static void main(String[] args) throws NumberFormatException, IOException {
BufferedReader br = new BufferedReader(new InputStreamReader(System.in));
int n = Integer.parseInt( br.readLine() );
int ans = 0;
int tmp = 1;
int len = 10;
for( int i=1; i<=n; i++ ) {
if( i == len ) {
tmp++;
len *= 10;
}
ans += tmp;
}
System.out.println( ans );
}
}
-파이썬
n = int(input())
s = len(str(n))
ans = 0
for i in range( 1, s ):
ans += 9 * i * 10**(i-1)
print( ans + ( s * ( ( n - 10**(s-1) ) + 1 ) ) )
728x90
반응형